제13회 세계문화예술교육 주간

유네스코와 유네스코 회원국은 2021년 제211차 집행이사회 결정문(EX 211/Decision 39)을 통해 유네스코 제1차와 제2차 세계문화예술교육대회의 결과로 도출된 「예술교육 로드맵」, 「서울 어젠다」를 반추하고, 그간의 변화 예를 들어 디지털 혁신, 예술적 표현의 진화, 창의적 분야의 성장, 포용성의 제고 필요 등 급변하는 사회적 흐름을 적극 반영한 새로운 문화예술교육 프레임워크를 개정해야 한다는 내용을 촉구하고 결의하였다. 국제 사회 문화예술교육 분야 정책 선도 국가로서 리더십을 발휘해 온 한국 정부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은 유네스코 결의안을 적극 지지함은 물론, 지난 3년간 문화예술교육 프레임워크 개발에 필요한 실질적인 과정 - ‘유네스코 국제전문가 회의’개최와 컨셉노트 도출, 지역별 온라인 전문가 회의 참석 및 한국 전문가 지원, ‘유네스코 다자회담’ 개최 기여와 의제 제안 위한 한국 세션 운영, 프레임워크 초안 작성을 위한 의견서 「K-문화예술교육 리포트」제출뿐만 아니라, 제3차 세계문화예술교육대회 정부 대표단 활동과 보고관(rapporteur) 역할을 적극적으로 수행하며, 2024년 2월, 아랍에미레이트 아부다비에서 개최된 유네스코 제3차 세계문화예술교육대회에서의 「문화예술교육 프레임워크」채택에 주도적인 역할을 하였다. 「문화예술교육 프레임워크」는 문화예술교육의 접근성과 포용성 확대, 다양성 실현, 디지털 기술의 활용과 문화예술교육 생태계 구축 등 인류 사회의 공동 이익과 지속가능한 미래 사회를 건설하기 위한 문화예술교육의 가치를 폭넓게 담아냈다.

2024 세계문화예술교육 주간행사는 유네스코 프레임워크를 바탕으로 ‘문화예술교육으로 여는 내일, 지속가능한 미래’를 주제로 개최되었다. ▲2024 문화예술교육 국제포럼 ▲제4회 미래 문화예술교육 포럼 ▲2024 ‘꿈의 향연’ 공연 ▲2024 치유도 예술로 워크숍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진행했으며, 이외에도 국민들이 일상 속에서 문화예술교육을 체험할 수 있는 전국 단위의 다채로운 참여형 행사들이 함께 운영되었다.

슬로건

문화예술교육으로 여는 내일, 지속가능한 미래

기간

05.21(화) – 05.27(월)

장소

서울, 지역, 온라인 등

프로그램

국제포럼, 특별 공연 및 워크숍, 세미나 및 포럼

기록영상
제4회 미래 문화예술교육 포럼 프로그램북
2024_1.jpg 2024_2.jpg 2024_3.jpg 2024_4.jpg 2024_5.jpg 2024_6.jpg 2024_7.jpg 2024_8.jpg 2024_9.jpg 2024_10.jpg 2024_11.jpg 2024_12.jpg 2024_13.jpg 2024_14.jpg 2024_15.jpg 2024_16.jpg 2024_17.jpg 2024_18.jpg 2024_19.jpg 2024_20.jpg 2024_21.jpg 2024_22.jpg 2024_23.jpg 2024_24.jpg 2024_25.jpg 2024_26.jpg 2024_27.jpg 2024_28.jpg 2024_29.jpg
사진